반응형
수족구병은 주로 여름철에 많이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특히 어린이들 사이에서 쉽게 전염되는 질병입니다. 주 증상은 손, 발, 입 등에 발진과 물집이 생기며 고열이 동반됩니다. 이 글에서는 수족구 원인, 증상, 전염기간, 그리고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족구 원인
수족구병은 주로 엔테로바이러스라는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그중에서도 코박스키 바이러스(Coxsackievirus)와 엔테로바이러스 71형(Enterovirus 71, EV71)이 주요 원인입니다. 이 바이러스는 사람 간에 전염되며, 특히 어린아이들에게서 많이 발생합니다.
- 직접 접촉 : 수족구병에 걸린 사람의 분비물, 예를 들어 침, 콧물, 대변 등에 접촉하면서 감염될 수 있습니다.
- 공기 중 전염 : 감염된 사람이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공기 중으로 바이러스가 퍼져 다른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습니다.
- 오염된 물건이나 표면 접촉 : 감염된 사람의 장난감, 식기, 타올 등을 통해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습니다.
수족구 주요 증상
수족구병의 주요 증상은 보통 3~7일의 잠복기를 거친 후 나타납니다.
- 고열 : 대부분의 환자에게 고열이 발생하며, 이는 보통 2~3일 동안 지속됩니다.
- 발진 : 손, 발, 입 등에 빨간 반점과 물집이 생깁니다. 발진은 먼저 손과 발에 나타나고, 이후 입 안, 혀, 뺨 등에 물집이 생깁니다.
- 구강 내 발진 : 입 안, 특히 혀와 뺨 안쪽에 작은 물집이나 염증이 생기고, 이는 음식을 먹을 때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식욕 부진 : 입 안에 발진이 생기면 음식을 먹기 어려워져 식욕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기타 증상 : 피로, 두통, 구토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수족구 전염기간
수족구병은 주로 어린이들 사이에서 빠르게 전파되며, 전염성이 매우 강합니다. 수족구병의 전염은 발병 후부터 증상이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지속될 수 있습니다.
- 발병 전 : 수족구병을 앓기 시작하기 전에도 바이러스가 전염될 수 있습니다. 감염자가 증상을 보이기 1~2일 전부터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습니다.
- 발병 후 : 발열, 발진 등이 시작된 후에도 전염력이 있으며, 입과 목에서 바이러스가 포함된 침과 분비물에 의해 쉽게 퍼질 수 있습니다.
- 전염 종료 : 감염자가 증상이 완전히 사라진 후에도 1~2주 동안 전염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증상이 완전히 없어지기 전까지는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족구 예방방법
- 손 씻기 : 가장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예방 방법입니다. 특히 화장실 사용 후, 식사 전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합니다.
- 기침 및 재채기 예절 :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손이나 옷으로 가리는 습관을 기르고, 이를 바로 씻는 것이 좋습니다.
- 접촉 피하기 : 수족구병에 걸린 사람과의 밀접한 접촉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발진이나 열이 있는 동안에는 다른 사람들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 공용 물건 사용 자제 : 수족구병에 걸린 사람의 장난감, 식기, 수건 등을 다른 사람이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청결 유지 : 집안의 표면을 자주 청소하고, 바이러스가 묻을 수 있는 곳을 소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백신 : 현재 수족구병에 대한 특효백신은 없지만, 위생 관리와 예방 조치를 철저히 하면 감염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결론
수족구병은 비교적 흔한 질환이지만, 전염성이 강하고 빠르게 퍼질 수 있기 때문에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 진단을 받고,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어린아이들의 경우 면역력이 약해 더욱 빠르게 확산될 수 있으므로, 청결을 철저히 유지하고 예방 수칙을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병원,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즘 유행하고 있는 차쿤구니야 열병 (22) | 2025.08.02 |
---|---|
인플루엔자 4가 백신 -> 3가 백신으로 (19) | 2025.07.31 |
인플루엔자 세포배양백신 '플루셀박스' (11) | 2025.07.23 |
희귀비만증 신약 '비바멜라곤' 3상 진입 (11) | 2025.07.14 |
치질 - 치핵 vs 치루 vs 치열 : 항문 건강을 위해 자세히 알아보자. (2) | 2025.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