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트럼프, 캐나다에 35% 관세

트럼프 대통령, 캐나다에 35% 관세 부과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캐나다에 3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통보하였습니다. 이는 "불법 이민과 펜타닐 밀수에 충분한 대응을 하지 않았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습니다. 이는 8월 1일부터 시행 예정이며 "보복이 있을 경우, 당신들이 선택하는 세율이 우리가 부과하는 35%에 더해질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트럼프와 캐나다 관세에 대해서 알아보자

캐나다 정부는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캐나다 정부는 트럼프 관세 서한에 대해서 즉각 반발했습니다. 이는 "불합리한 경제 압박에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며 미국산 제품에 대해 보복관세를 예고했습니다. 캐나다는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한 보복 관세 카드를 검토하고 있으며, 실제로 캐나다는 과거에도 철강,알루미늄 관세 갈등 때에도 미국 농산물과 소비재에 보복 관세를 시행한 적이 있습니다.

미국 시민들의 반응은 어떠한가? 

미국 내에서는  일부 제조업 단체와 보호무역 지지자들이 트럼프의 결정을 지지하고 있지만, 소비자 단체와 수입 유통업계는 가격 상승과 공급망 불안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캐나다는 서로의 1, 2위 무역 파트너로서 주요 산업군(자동차, 석유, 곡물 등)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에, 장기적으로는 양국 소비자에게는 부담이 될 수 있으며 양국 산업 모두에게도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USMCA 무역협정 

현재 북미는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 체제로 자유무역을 유지 중이지만, 트럼프의 관세 조치가 협정 위반 소지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됩니다. 캐나다가 국제무역기구(WTO) 제소나 협정 내 분쟁 해결 절차를 활용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무역 분쟁을 넘어 국제 무역 질서 자체를 흔드는 도전이 될 수 있습니다.

결론 : 양국 모두에게 부담이 되는 대결 구도

트럼프의 캐나다 관세 부과는 단순한 세율 조정이 아니라, 정치적 외교적 압박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트럼프의 발언에 따르면, 캐나다뿐 아니라 브라질, 필리핀 등에도 고율 관세 조치가 예정되어 있어 무역 갈등은 더욱 확산될 수 있습니다. 미국과 캐나다의 이번 관세 충돌은 단기적 감정 대응이 아닌, 구조적 분쟁의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서로에게 가장 중요한 경제 파트너인 두 나라가 보복의 악순환에 빠진다면, 그 피해는 소비자와 기업 모두에게 돌아갈 것입니다.

 

트럼프와 브라질 관세
트럼프 관세와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