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인도네시아 32%->19% 관세 협상 체결
2025년 7월 15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네시아와 새로운 무역 협의를 체결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인도네시아산 수출품에 대해 미국은 19%의 관세를 부과하며 미국은 인도네시아산 수입에 대해 관세를 0% 즉, 전혀 부과하지 않는 조건이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무역협의 체결 배경과 각국의 무역협상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트럼프, 인도네시아와의 무역 협의 체결 배경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경제적 이익을 우선시한 '미국 우선주의'의 정책을 무역협정 체결에 중점을 둡니다. 동남아시아에서 중요한 경제국 중 하나인 인도네시아는 이번 무역 협의 체결로 인해 미국과의 경제적 연계가 더욱 강화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큽니다. 협의는 양국 간의 상호 경제적 이익을 증대시키기 위한 중요한 첫걸음으로, 특히 무역 장벽을 낮추고 상호 투자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의 미국 시장 접근 필요성
세계 4위 인구 대국이자 신흥 공업국인 나라는 바로 인도네시아 입니다.
- 인도네시아 -> 미국 수출 : 다양한 소비재와 원자재를 미국에 수출 (섬유, 신발, 식품, 광물 등)
- 미국은 인도네시의 최대 수출국 중 하나로 미국 시장 접근 필요성이 중요합니다.
인도네시아 주요 제안
인도네시아는 미국에 2025년 7월 초에 다양한 구매, 투자 제안을 먼저 제시했습니다. 이는 관세 손실을 피하기 위한 미국산 상품을 대량 구매하겠다는 조건부 협상을 제안하였습니다.
- 미국 농산물 약 45억 달러 어치 구매 (옥수수, 밀, 콩 등)
- 미국 에너지 제품 약 150억 달러어치 구매
- 보잉 항공기 50대 구매 약속 (주로 777 모델 포함)
- 미국 내 340억 달러 규모의 투자 양해각서 체결 준비
항목 | 내용 |
트럼프 전략 | 전방위 관세 압박 -> 미국산 제품 수출 확대 |
인도네시아 입장 | 높은 관세율 회피와 미국시장 유지 필요 |
제안 내용 | 농산물,에너지 제품, 보잉기 구매, 340억 달러 규모의 투자 제안 |
협상 결과 | 인도네시아 -> 미국 : 19% 고정관세 미국 -> 인도네시아 : 수출품 0% 무관세 혜택 |
결론
이번 트럼프와 인도네시아 간의 무역협의 체결은 미국의 아시아 태평양 전략을 강화는 중요한 단계로 볼 수 있습니다.
양국이 서로 상호보완적인 경제적 관계를 구축하였고 이는 향후 10년간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이루어 나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향후 협정의 이행과 함께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